실시간 뉴스



서울 하수관 30%, 50년 넘은 '초고령'…싱크홀 발생 우려


[아이뉴스24 김한빈 기자] 서울시에 매설된 하수관로의 약 30%가 땅 꺼짐(싱크홀) 발생이 우려되는 50년이 넘은 '초고령' 하수관으로 확인돼 교체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에 매설된 하수관로의 약 30%가 땅 꺼짐(싱크홀) 발생이 우려되는 50년이 넘은 '초고령' 하수관으로 확인돼 교체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서울 강동구 명일동에서 지난달 24일 발생한 대형 싱크홀 현장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시에 매설된 하수관로의 약 30%가 땅 꺼짐(싱크홀) 발생이 우려되는 50년이 넘은 '초고령' 하수관으로 확인돼 교체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서울 강동구 명일동에서 지난달 24일 발생한 대형 싱크홀 현장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최근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 12월 기준 서울 하수관로 총연장 1만 866㎞ 중 50년 이상 된 하수관로는 3300㎞(30.4%)에 달한다.

아울러 30년 넘은 노후 하수관로는 6028㎞(55.5%)로 확인됐다.

서울시는 사용 연수가 30년 이상이면 노후 하수관으로 분류한다.

자치구별 현황을 살펴보면 50년 이상 된 하수관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종로구(53.5%)다. 이어 용산구(48.5%), 성북구(47.7%), 영등포구(45.7%), 마포구(45.4%) 등이 뒤를 이었다.

30년 이상으로 범위를 넓히면 종로구는 노후 하수관 비율이 66.3%에 달해 노후화가 가장 심각했으며 다음으로 도봉구(66.2%), 용산구(65.2%), 영등포구(63.6%), 서초구(63.2%) 순으로 나타났다.

노후 하수관은 싱크홀 발생의 주범으로 꼽힌다.

실제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0∼2024년) 전국에서 발생한 싱크홀 사고 총 867건 중 하수관 손상이 원인인 경우는 394건(45.4%)으로 가장 많았다.

서울시는 매년 약 2000억원을 들여 노후 하수관로 100㎞가량을 정비하고 있지만, 노후도를 따라잡기엔 역부족이란 지적이 나온다.

이에 시는 재난관리기금 등을 활용해 교체 속도를 높이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으며 신속한 정비를 위해선 국비 보조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김한빈 기자(gwnu20180801@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서울 하수관 30%, 50년 넘은 '초고령'…싱크홀 발생 우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
발언하는 이재명
발언하는 이재명
발언하는 김동연
발언하는 김동연
발언하는 김경수
발언하는 김경수
토론회에 앞서 기념촬영하는 이재명·김동연·김경수
토론회에 앞서 기념촬영하는 이재명·김동연·김경수
포즈 취하는 안철수-김문수
포즈 취하는 안철수-김문수
포즈 취하는 김문수-한동훈
포즈 취하는 김문수-한동훈
포옹하는 한동훈-홍준표
포옹하는 한동훈-홍준표
국힘 '빅4' 대결 본격화
국힘 '빅4' 대결 본격화
국민의힘 2차 경선 토론회 미디어데이
국민의힘 2차 경선 토론회 미디어데이
신구-박근형, 연극 무대에서 만나요
신구-박근형, 연극 무대에서 만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