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국민의힘 이양수 사무총장이 대선 후보 선출 방식과 관련해 취재진 앞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image.inews24.com/v1/b73c2ebde41cbd.jpg)
[아이뉴스24 유범열 기자] 국민의힘이 '2인 최종 경선·전단계 역선택 방지 조항 도입'을 골자로 한 6·3 대통령선거 경선 룰을 최종 확정했다. 당내 조직 기반이 약한 비윤(비윤석열)계 후보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란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경선 선거관리위원회는 후보의 유불리는 고려하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이양수 사무총장(선관위 부위원장)은 11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선관위 2차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과반 득표자가 없을 시 내달 3일 최종 2인 경선을 통해 대선 후보를 결정하기로 한 것에 대해 "2인 경선은 반드시 필요했다"며 "(최종 후보자가) 50% 이상의 득표를 하는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해야 되고 또인 경선이 주는 경선 흥행적 요소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2030 선관위원들이 룰 결정을 주도했다며 "이들이 누구의 유불리를 고려했겠느냐"고 반문했다.
최종 후보를 1대1 대결로 가려 과반 이상 득표한 후보에게 대권 주자 자격을 부여하는 이번 경선 방식은,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정국에서 결집한 고정 보수층 지지를 등에 업은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과 홍준표 대구시장 등 친윤 후보에게 유리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반면, 당내에서 '배신자 프레임'에 갇힌 한동훈 전 대표와 유승민 전 의원 등 비윤 후보에겐 본선 진출의 장벽이 될 수 있다.
타 정당 지지층을 조사에서 배제하는 '역선택 방지 조항'이 1차 경선(여론조사 100% 반영)을 포함한 경선 전 과정에서 적용되는 점도, 비윤 후보들을 중심으로 '실질적인 민심 반영 폭을 제한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출마를 고심 중인 유 전 의원은 이날 대구시당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당 지도부가 의결한 경선룰은 이재명에게 정권을 갖다 바치겠다는 생각으로 당 지도부가 대선을 포기한 것 아니냐는 생각마저 든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이 사무총장은 이에 대해 "역선택 방지 조항이 당헌·당규에 있다. 바꿔볼 생각도 했지만 도저히 물리적으로 시간이 안 돼 그렇게 했다"면서 "민심을 반영하기 위해서 50% 정도의 민심을 반영하고 1차 경선을 100% 국민참여경선으로 했다는 것 자체가 상당히 민심을 대단히 무겁게 여기고 있다는 것을 방증한다. 유 전 의원도 용기를 내주길 부탁한다"고 했다.
국민의힘은 이날 대선 토론 진행 일정과 방식도 확정했다. 이달 18~20일엔 조별 토론이 시행되고 22일 예비경선을 통해 4명으로 후보자가 압축된 후엔 24~25일 일대일 토론, 26일 4인 합동토론이 진행된다. 29일 2차 경선에서 최종 후보가 2명으로 압축되면 30일 양자토론회를 연다. 선관위는 경선 흥행을 위해 MBTI 밸런스게임·스피드 퀴즈 등 예능적 요소도 경선에 도입하기로 했다.
당내 일각에서 거론되는 '한덕수 대망론'과 관련해 최종 후보와 한 권한대행이 단일화를 할 가능성에 대해선 "그건 제가 말씀드릴 수 있는 부분이 아닌 것 같다"며 "대통령 후보가 당대표 권한을 갖기 때문에, 그 후보가 결정할 사안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유범열 기자(heat@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