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이효정 기자] 전세 사기 여파에 전셋값 상승세까지 더해져 월세 수요가 늘고 있다.
10일 부동산R114가 2023~2024년 서울 아파트 전월세 실거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4분기 임대차 계약에서 전세 거래건수는 3만112건, 전체의 56.0%를 차지했다. 월세 거래는 2만3657건 44.0%로 나타났다.
월세 비중은 지난해 3분기 대비 3.3%포인트(p) 증가해 최근 2년 이내 최고치다.
![[표=부동산R114]](https://image.inews24.com/v1/16af16085fc900.jpg)
부동산R114는 "전방위 대출 규제로 억눌린 매매 수요가 임대차 시장에 머무르고 있다"며 "지난 2022년부터 불거진 전세 사기 여파와 2023년 5월부터 꾸준히 오르는 전셋값에 월세 시장으로 이동한 수요자들이 늘어난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서울 아파트 월세 거래의 유형별 비중을 보면 갱신계약 비중이 2023년 3분기 이후 증가해 지난해 4분기 갱신계약 비중이 31.6%로 최근 2년래 가장 컸다.
월세가격이 상승세인데도 월세 아파스의 갱신계약 비중 높아지고 있는 이유는 높아진 전셋값의 문턱을 넘지 못한 수요자들이 신규 전·월세 계약을 체결하기보다는 계약갱신청구권을 활용해 기존 월세 계약을 연장했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부동산R114는 "전세가격이 상승해 전세 보증금 마련이 어려워지게 되면 수요는 자연스레 순수 전세보다는 반전세나 월세로 전환될 수밖에 없어 ‘전세의 월세화’는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효정 기자(hyoj@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