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설래온 기자] '만 나이' 통일 정책이 시행된 지 1년이 지났으나 아직까지 '세는 나이'를 사용하는 사람이 더 많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21일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는 전국 만 13~69세 남녀 1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4 만 나이 통일 정책 관련 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평소 나이를 얘기할 때 '만 나이' 대신 '세는 나이'를 사용하는 비율은 60.8%였다. 62.9%는 자신의 나이를 말할 때 '세는 나이'와 '만 나이' 개념을 헷갈렸던 경험이 있고, 73.1%가 지인이나 동료 등을 부르는 호칭이 '만 나이 통일' 이전 대비 달라지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지난해보다 '세는 나이'가 다시 보편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전 연령에서 소폭 증가하기도 했다(20대 28.0% → 41.0%, 30대 26.8% → 34.0%, 40대 31.6% → 39.0%, 50대 29.2% → 31.5%). 엠브레인은 원인에 대해 "나이 계산법의 일관성을 높이려는 정책적 목표와는 달리 사회적 혼선과 불편함이 아직까지 잘 해소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응답자 67.23%는 법적 나이인 '만 나이'로 통일하는 것이 행정 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이고 60.9%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기준에 맞춘 정책인 만큼 세계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답했다. 공공 분야 등에서 발생하는 사회·경제적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의견도 절반 이상(52.9%)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만 나이 통일' 정책은 제도적인 타당성을 인정받고 있지만, 일상생활에서의 실질적 이점을 충분히 전달하지는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해당 조사에서도 응답자의 73.5%가 '만 나이 통일'이 됐더라도 사회 통념상 정착에는 오랜 시간이 걸릴 것 같다고 인식했으며 상당수(67.6%)가 '도로명 주소' 제도처럼 시간이 지나도 '세는 나이'와 '만 나이'는 혼용될 것 같다고 전망했다.
응답자들은 '만 나이' 정착이 더딘 원인으로 '나이에 대한 한국 사회의 강한 선입견(86.8%)', '나이에 대한 스스로의 강박'(79.0%) 등을 꼽고 있다. 응답자의 상당수는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밥을 사거나(57.8%) 기회를 박탈당한 경험이 있었고(39.6%), 나이로 인해 잡일을 맡거나(61.8%), 지적이나 훈계를 받아본 경험(54.9%)이 있다고 답했다.
엠브레인은 "향후 나이에 대한 고정관념과 불필요한 선입견을 줄이고, 다양한 연령대가 상호 존중하며 공존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설래온 기자(leonsign@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