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금융복합그룹 점검]③삼성전자·현대차에 포획된 삼성생명·현대캐피탈


삼성전자 출신 대거 삼성생명 경영진 합류
현대차 전무 현대캐피탈·현대카드·현대커머셜 이사회 겸직

[아이뉴스24 김현동 기자] 삼성금융복합기업집단과 현대차금융그룹은 비금융 계열회사 출신 임원이 대표 금융회사의 경영에 지속적으로 관여하고 있다. 금융회사와 비금융회사 간 리스크 전이 차단과 감독을 위해 마련된 금융복합기업집단법 제정 취지에 반한다. 대주주의 금융회사에 대한 부당한 영향력 행사를 유의하라는 감독 당국의 개선 권고도 무시하고 있다.

삼성생명의 '2023년 삼성금융복합기업집단 현황'에 따르면 삼성생명의 이길호 부사장과 안덕호 부사장, 김창훈 상무, 조신형 상무 등은 모두 삼성전자에서 이직한 인사들이다.

김창훈 상무는 2020년 삼성전자에서 이직해 4년째 재직 중이다. 이길호 부사장과 안덕호 부사장은 2022년 12월 삼성전자에서 이직했다. 조신형 상무는 올해 초에 삼성생명에 합류했다. 2020년까지만 해도 기획실장과 기획팀장으로 한정됐던 비금융 계열사 출신 경영진이 2022년 5명, 2023년 4명 등으로 확대됐다. 커뮤니케이션팀을 제외하면 기획실, 법무팀, BA사업부 등 법적 분쟁 사안에서부터 사업 기획 등 내부통제와 관련된 업무까지 비금융 계열사 출신이 맡고 있는 셈이다.

삼성금융복합기업집단 비금융 소속 임원 [사진=공시]
삼성금융복합기업집단 비금융 소속 임원 [사진=공시]

삼성금융그룹과 달리 현대차금융그룹은 비금융 계열사 현직 임원이 현대캐피탈, 현대카드, 현대커머셜, 현대차증권 이사회에 직접 참가하고 있다. 이승조 현대차 기획재경본부장과 주우정 기아 재경본부장은 현대캐피탈의 기타 비상무이사로 참여하고 있다.

이승조 전무는 현대카드와 현대커머셜의 기타 비상무이사도 겸직하고 있다. 주우정 부사장은 현대카드의 기타 비상무이사이기도 하다. 현대차증권은 현대차 기업전략실 사업부장과 현대모비스 재경부문장 출신의 배형근 대표이사와 현대차 기획조정1실장을 역임했던 도신규 사내이사가 이사회를 이끌고 있다. 현대차는 현대캐피탈·현대카드·현대커머셜·현대차증권의 최대 주주다.

현대차금융복합기업집단의 대표 금융회사인 현대캐피탈을 비롯해 현대카드, 현대커머셜 이사회에는 현대차 재경본부장과 기아 재경본부장이 기타비상무이사로 참여하고 있다. [사진=공시]
현대차금융복합기업집단의 대표 금융회사인 현대캐피탈을 비롯해 현대카드, 현대커머셜 이사회에는 현대차 재경본부장과 기아 재경본부장이 기타비상무이사로 참여하고 있다. [사진=공시]

현대차금융그룹은 비금융회사 대상 내부거래 비중이 73.4%에 달할 정도로 현대차와 기아 등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곳이다. 현대캐피탈의 현대차·기아 할부금융 비중 98%에 달하고, 현대커머셜의 현대차 할부금융 비중이 73%다. 현대차증권은 퇴직연금 적립금에서 비금융회사 비중이 확정급여(DB)형 87%, 확정기여(DC)형 61%에 이르고 있다.

현대캐피탈 등 금융 계열사가 현대차와 기아 등 비금융 계열사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상황에서 현대차와 기아의 재경본부장이 이사회에 참석한다면, 그 영향력은 상당한 것으로 풀이한다. 이사회 참여만이 아니다. 현대글로비스 HR실장을 지낸 유흥목 상무는 2021년 10월부터 현대캐피탈의 경영지원본부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현대캐피탈 정주용 상무(유럽지원실장)는 현대차 글로벌판매지원1실장 출신이다.

삼성생명은 삼성금융그룹의 대표 금융회사이고, 현대캐피탈은 현대차금융그룹의 대표 금융회사다. 삼성생명과 현대캐피탈 이사회는 금융그룹 소속 비금융회사로부터의 위험 전이를 막고 위험을 관리하는 금융그룹 차원의 최종심의·의결기구다. 그런데 삼성전자 출신이 경영진으로 참여하고, 현대차와 기아의 사내이사가 이사회 구성원으로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한다면 대주주에 의한 영향력 행사 가능성이 높다.

금융그룹은 소속 금융회사 임원 선임 시에 내부통제 기준에 따라 해당 임원이 직무 수행에 적합한 전문성, 업무 경험, 정직성과 신뢰성 등을 갖췄는지 확인해야 한다. 그런 면에서 삼성전자에서의 대외협력, 컴플라이언스, 조직문화 업무가 삼성생명에서 수행할 업무와 어떻게 연결되고 적용될 수 있는지 검증이 필요하다. 현대캐피탈 이사회는 이사회에 참가하는 대주주의 부당한 영향력 행사를 막을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현동 기자(citizenk@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금융복합그룹 점검]③삼성전자·현대차에 포획된 삼성생명·현대캐피탈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