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100일 훌쩍 넘은 '의·정 갈등'…의협, 투표 통해 집단휴진 결정한다


오는 9일 방식 등 논의…정부 이날 대책 발표
일부 우려도…'장기전' 방식 고려

[아이뉴스24 박정민 기자] 대한의사협회(의협)가 나흘간 투표로 총파업(집단 휴진) 여부를 결정한다.

지난 4월 11일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들이 이동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지난 4월 11일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들이 이동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4일 의료계 등에 따르면 의협은 이날부터 7일까지 총파업 찬반 투표를 온라인으로 실시한다. 투표 이후 오는 9일 전국대표자회의를 열고 총파업 시기와 방식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이번 투표는 의대 증원, 필수의료패키지 등 정부 의료정책으로 인한 의정갈등이 100일 넘게 지속되면서 이뤄지게 됐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도 이날 오후 5시 총회를 열고 별도로 총파업 찬반 투표를 진행한다.

의료계는 전날(3일) 정부가 발표한 '전공의 사직서 수리 금지 명령 철회 검토'가 사직 전공의들에 대한 면허정지 등 행정처분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하는 상황이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난달 20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난달 20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전날 올해 의사 국시(자격시험)를 예년과 동일한 9월 2일 시행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전공의 복귀와 총파업 자제를 촉구했다. 조 장관은 이날 '의료개혁 관련 현안 브리핑'을 열고 의료개혁, 의정갈등에 대한 추가 대책을 발표한다.

의료계와 정부의 입장차가 좁혀지지 않으면서 총파업 찬성 여론이 높아지는 가운데, 일부 개원가(개인병원)에서는 우려도 감지된다. 종합병원과 달리 실질적으로 휴진이 어려운 만큼 다른 투쟁을 강구해야 한다는 여론도 적지 않다.

의협 내부에서는 개원가에 부담이 큰 무기한 집단 휴진 방식 대신 단축 진료(주 40시간), 토요일 휴진 등 장기전을 고려한 투쟁방식도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또다른 의료단체인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와 전국 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는 아직 총파업 여부를 결정하지 않았다. 향후 여론 추이 등을 지켜본 뒤 파업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박정민 기자(pjm8318@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100일 훌쩍 넘은 '의·정 갈등'…의협, 투표 통해 집단휴진 결정한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