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조선 중기 왕실 종친 의복 한 눈에”…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 출토복식 전시


7월 26일까지 ‘뉴트로, 16세기 조선사람의 옷차림’ 특별전

석주선기념박물관 출토복식전 홍보 포스터. [사진=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 출토복식전 홍보 포스터. [사진=단국대]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은 ‘뉴트로, 16세기 조선사람의 옷차림’ 특별전을 24일부터 7월 26일까지 개최한다.

이번 전시에는 조선 중기 16세기 출토복식 40여 점과 복원품을 일반인에 공개한다. 이번 특별전은 태종의 3남 온녕군의 증손 이회(李淮·1490~1560)와 유인이씨(1500년대 중후반 추정) 및 진주강씨(1500년대 중반 추정)의 무덤에서 출토된 유물이다. 유물은 경기도 남양주·파주 및 천안시 일대에서 종중 묘역을 정비하는 과정에서 발굴됐다.

주요 전시 품목은 △조선 시대 사대부의 예복이나 외출복으로 입었던 ‘직령’ △관복의 받침옷 또는 겉옷 위에 덧입던 반소매형 옷인 ‘답호’ △상의와 주름 잡은 치마형 하의가 연결된 옷으로 남성들이 융복이나 평상복으로 입은 ‘철릭’ 등이다. 이 밖에도 어린이 색동저고리·장옷·저고리·접음단치마 등이 소개된다.

여성의 저고리와 어린이의 색동저고리는 색 분할과 배치를 통해 전통 복식 고유의 다양한 조형미를 살펴볼 수 있기에 충분하다. 뉴트로라는 주제에 맞춰 이번 전시는 출토유물을 현대 직물로 복원한 작품도 함께 전시해 눈길을 끈다. 뉴트로는 새로움(New)과 복고(Retro)를 합친 신조어다.

이종수 관장은 “조선시대 복식의 조형미와 복식문화를 현대적 시각으로 재해석하는 데 의미있는 시도”라며 “16세기 조선 중기 왕실 종친과 사대부가의 의생활 단면을 확인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평가했다.

24일 특별전 개막일에는 ‘16세기 조선사람의 의생활’ 이라는 주제로 △미암일기를 통해 본 16세기 복식문화 △16세기 분묘 출토 복식의 특징 △조선전기 운문 분석 방법과 적용 사례 등을 조명하는 학술대회가 열린다. 또 관람객을 대상으로 ‘16세기 저고리 키링 만들기’ 부대행사도 진행한다.

자세한 사항은 석주선기념박물관 학예연구실(031-8005-2392)로 문의하면 된다.

한편, 이번 특별전은 (사)한국대학박물관협회와 문화체육관광부의 2024년 대학박물관 진흥지원사업 지원으로 진행된다.

/용인=정재수 기자(jjs3885@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조선 중기 왕실 종친 의복 한 눈에”…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 출토복식 전시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