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금융연 "정책금리 내려도 소비 개선은 제한적"


"대출금리 1%p 오르면 차주 소비지출 0.44% 감소"
"대출금리 하락 때 통상 3개월~1년 시차 있어"

[아이뉴스24 김병수 기자] 한국은행이 정책금리를 내리더라도 소비 개선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왔다.

김현열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19일 보고서에서 "대출금리가 1%포인트(p) 오르면 차주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평균은 1.9%p 오른다"며 "금리 상승에 따른 DSR 상승효과와 DSR 상승에 따른 소비 감소를 합하면 대출금리 1%p 상승은 차주의 소비지출을 0.44% 감소시켰다"고 분석했다.

연구원은 DSR이 1%p 오를 경우 차주의 소비지출은 평균 0.23%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했는데, 이에 따라 작년 DSR이 오른 차주의 소비 여력은 상당히 제한됐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래프=금융연구원]
[그래프=금융연구원]

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부채를 보유한 차주의 DSR은 평균 6.3%p 상승했고, DSR 수준이 20% 이상인 차주 비중은 46.1%로 나타났다.

김 연구위원은 "차주의 DSR이 높을수록 금리 상승에 따른 DSR 상승효과가 더 컸다"며 "고금리가 장기화면 소비 여력이 계속 제약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반면 DSR 상승에 따른 소비 감소보다 DSR 하락에 따른 소비 증가 효과는 미미했다.

김 연구위원은 "금리 하락이 이자 비용 감소로 이어져 차주의 소비 여력을 개선할 것으로 기대할 수는 있으나, 가계대출 금리 하락이 시작되더라도 차주의 소비 회복 속도는 금리 상승 시 감소 속도보다 느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정책금리 내리더라도 가계부채 잔액에 적용되는 대출금리 하락은 통상 3개월에서 1년의 시차가 있다"며 "금리 변화에 따른 소비 변화의 비대칭성을 고려하면 대출금리 하락 이후에도 소비 개선 정도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병수 기자(bskim@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금융연 "정책금리 내려도 소비 개선은 제한적"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