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윤소진 기자] 대통령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디플정위’),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탄녹위)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29일 '인공지능(AI) 기반 그린디지털 전환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컨퍼런스는 지난해 11월 탄녹위 전체회의에서 발표된 '디지털 전환을 통한 탄소중립 촉진방안'의 후속조치다. 지난 2월 범부처 디지털 탄소중립 총괄협의체(탄녹위 주관)에서 논의된 협력방안을 기반으로, 산학연 전문가들이 모여 AI를 활용해 탄소중립을 실현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게 위해 마련됐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보여주는 AI 기술은 현재 인류가 직면한 가장 중대한 문제인 기후 위기를 해결하는 게임체인저 기술이 될 것”이라며 “오늘 컨퍼런스가 AI를 활용해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새로운 길을 열어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먼저 AI가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해법이 될 수 있을지에 대해 이용훈 울산과학기술원(UNIST) 총장 및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이노베이션센터장이 '2050 탄소중립을 위한 AI의 역할과 비전'이라는 주제로 기조강연을 진행했다.
이후 그 가능성과 한계, 분야별 적용 사례 등에 대해 산․학․연 각 분야에서 AI 연구 및 활용을 주도하고 있는 강연자들이 발표 및 토론을 진행했다.
발표자들은 AI를 통한 탄소중립 가속화를 실현하기 위해 그간 추진돼온 AI·탄소중립 기술개발 실증에 대한 집중 투자, AI 표준 마련 및 AI서비스-스타트업-산업 간 생태계가 구축돼야 함을 강조했다.
또한 통신, 정유, 제조 등에서 AI를 활용한 탄소감축 노력을 소개했으며 화재예측, 스마트교차로 등 공공부문 초거대 AI 도입시 리스크 최소화를 위한 AI 도입 컨설팅 기술검증(POC) 추진사항 등도 논의했다.
특히 전문가들은 AI 활용시 문제 해결을 위해 저전력·고효율·실용적 생성AI 서비스 전용 반도체 기술개발 및 내재화, 신뢰 가능한 AI 리스크 관리 플랫폼 등 구축의 필요성도 제기했다.
이밖에 수출기업이 직면하고 있는 유럽연합(EU)의 그린딜 등 규제에 대비한 준비가 시급하며, 디지털제품여권(DPP) 등 데이터에 기반한 규제에 정부와 민간이 함께 협력해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했다.
DDP는 EU에 유통되는 모든 제품에 대해 생산, 유통, 판매, 사용, 재활용 등 전체 생애주기 정보를 디지털로 수집·저장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공유하는 제도다. 오는 2027년 2월 배터리 등에 우선 적용될 예정이다.
정부는 이날 컨퍼런스에서 나온 주요 의견을 기반으로 AI기반 그린디지털 전환을 위한 기술개발 및 전 산업적 확산방안, 규제 대응을 위해 범부처 디지털 탄소중립 총괄협의체(탄녹위 주관) 및 민관협의회(과기정통부 주관)에서 지속 논의하고 후속 방안을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고진 디플정위 위원장은 “최신의 AI 기술을 활용해 기후변화를 효과적으로 예측하고 대응하는 것은 국민 생활 편의 뿐만 아니라 관련 산업 혁신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며 “탄녹위와 관련 부처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DPP와 같은 유럽의 환경규제 이슈에 대해서도 적극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