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김정률 그라비티 회장


 

김정률 그라비티 회장은 31일 경영권을 일본 소프트뱅크 측에 넘긴 것에 대해 "글로벌 경영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자신과 가족이 가진 그라비티 지분 52.4%, 364만주를 일본 소프트뱅크 계열 투자회사 EZER과 테크노그루브(Techno Groove)에 전량 매각했다. 이로써 그라비티 경영권은 사실상 소프트뱅크 측에 양도된 셈이다.

김 회장은 이에 대해 31일 전화 인터뷰를 통해 "(그라비티를 글로벌기업으로 성장시키는데) 개인으로는 한계를 느꼈다"며 "(그동안 줄기차게 해외진출에 총력을 기울였으나) 미국에서는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김 회장을 중심으로 한 그라비티의 글로벌 확장에 한계를 느꼈다는 뜻이다.

실제로 이 회사의 주식가격은 나스닥 상장 이후 크게 떨어졌다.

그라비티가 지금의 한계를 벗고 진짜 글로벌 회사로 도약하기 위해서 새로운 돌파구가 필요했다는 게 김 회장의 설명인 셈이다.

이런 설명으로 봤을 때, 김 회장은 그 돌파구로, 그라비티와 처음부터 인연을 맺고 있는 소프트뱅크를 적임자로 판단했을 듯 싶다.

그라비티는 소프트뱅크의 온라인 게임분야 자회사인 일본의 겅호에 글로벌 게임으로 성장한 '라그나로크'를 수출하며 연을 맺었다. 김 회장은 이 점에서 이번 매각 결정이, 기업 그라비티는 든든한 우군과 혈맹을 맺고, 일본 소프트뱅크는 세계 온라인 게임 시장에서 입지를 크게 넓히는 윈-윈 구조라고 판단한 듯하다.

김 회장은 "그래서 결정했다"며 "그러나 이번 매각으로 그라비티에서 완전히 손을 떼는 것은 아니며, 앞으로도 경영지원 역할을 계속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소프트뱅크 측에서 먼저 원하고 있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김정률 회장에 대한 평가는 이후 행보에 따라 상당히 엇갈릴 것으로 보인다.

우선 이번 지분 매각 가격이 주당 98.25달러로 총액이 약 4천억원에 이른다는 측면에서 김 회장은 개인적으로 큰 부를 이뤄냈다. 하지만, 이를 바라보는 직원 및 업계의 시선이 그리 고울 수만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그라비티가 지분 매각 전에 국내 게임 퍼블리싱사업에 최대 50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약속한 사안이 지켜질 지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이를 기대하고 있던 군소 게임 개발 업체로서는 다소 황당한 일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라비티를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시키기 위해서 국적까지 불문했던 김 회장의 선택은 업계에 적잖은 논란으로 남을 전망이다.

/이균성기자 gslee@inews24.com, 이관범기자 bumie@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김정률 그라비티 회장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
결혼식 앞둔 김종민, 싱글벙글 사랑꾼
결혼식 앞둔 김종민, 싱글벙글 사랑꾼
김종민, 만세! 드디어 장가갑니다~
김종민, 만세! 드디어 장가갑니다~
'4월의 신랑' 김종민, 11세 연하 사업가와 화촉⋯결혼 반지 어때요?
'4월의 신랑' 김종민, 11세 연하 사업가와 화촉⋯결혼 반지 어때요?
[아이포토] 예수 부활 대축일 미사
[아이포토] 예수 부활 대축일 미사
MBTI 자기소개하는 나경원
MBTI 자기소개하는 나경원
MBTI 자기소개하는 홍준표
MBTI 자기소개하는 홍준표
MBTI 자기소개하는 이철우
MBTI 자기소개하는 이철우
MBTI 소개하는 한동훈
MBTI 소개하는 한동훈
국민의힘 경선 조벌 토론회하는 이철우·나경원·홍준표·한동훈
국민의힘 경선 조벌 토론회하는 이철우·나경원·홍준표·한동훈
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 후보자 경선 B조 토론회'
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 후보자 경선 B조 토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