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정유림 기자] 네이버가 뉴스 검색 알고리즘에 인위적으로 개입했다는 의혹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고 해명했다. 뉴스 검색 알고리즘은 20여개의 다양한 요소로 이뤄져 특정 요소가 영향을 미칠 수 없다는 것이 해명의 요지다.
3일 네이버가 자사 커뮤니케이션 채널 '네이버 다이어리'에 올린 내용에 따르면, '언론사 인기도'는 알고리즘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 중 하나일 뿐 검색 결과를 뒤바꿀 만큼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네이버는 "뉴스 검색 결과는 20여 개의 다양한 알고리즘 요소로 이뤄져 있고 이런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알고리즘을 구성하는 전체 요소는 알고리즘을 고도화하는 과정에서 업데이트되는데 특정 요소가 검색 결과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없다"고 설명했다.
◆언론사 인기도 적용, 왜?…"1차 알고리즘 검토위원회 의견 따른 것"
네이버의 이같은 해명은 방송통신위원회가 뉴스 검색 알고리즘에 대한 실태점검에 나서기로 한 데 따른 것이다. 앞서 일각에서는 네이버의 알고리즘과 관련해 언론사(매체) 순위를 추출해 기사(뉴스) 노출 순서를 달라지게 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그렇다면 이 언론사 인기도는 왜 적용하게 된 것일까. 2018년 있었던 1차 알고리즘 검토위원회에서 나온 의견을 수렴한 결과라는 게 네이버 측 설명이다. 네이버는 "당시 위원회에서 (네이버 뉴스 검색 결과에) 생소한 언론사가 자주 노출되는 이유로 구글을 비롯한 타 검색 회사들이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페이지랭크(PageRank)와 같은 형태의 출처 인기도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페이지랭크란 상대적인 중요도에 따라 웹 문서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법으로, 웹사이트 페이지의 중요도를 측정하기 위해 쓰이는 알고리즘이다. 인터넷상의 정보는 엄청난 속도로 늘어나는데 이용자는 일부 검색 결과만 볼 뿐, 그 속도를 따라가지 못해 더 정밀한 검색엔진 알고리즘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부상했다.
네이버 측은 "2019년 3월 검토위원회 의견에 따라 랭킹 모델 학습에 '이용자에게 익숙한 언론사인지' 여부를 포함하기 위해 기존 국내외 연구 결과를 참고로 한 언론사 인기도를 처음 적용했다"며 "이 요소는 실제 웹 문서 검색에 2010년 도입해 사용되고 있던 사이트 인기도 수식을 그대로 적용했다"고 해명했다.
◆정치권 입법 움직임 이후 알고리즘 바꿨다?…"사실 아냐"
언론사 인기도를 적용한 이후에는 정치권에서 관련 입법 움직임이 나타나며 알고리즘을 변경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2021년 5월에는 네이버와 같은 포털의 뉴스 기사 배열 기준을 정부 산하 위원회에서 점검하도록 하는 내용의 신문법 개정안(김남국 더불어민주당 의원 대표발의)이 발의된 바 있다.
이에 대해 네이버는 "특정 정당의 뉴스 알고리즘 편향성 지적 및 알고리즘 공개 입법 추진으로 인해 (언론사 성향을 분류하거나 구분할 수 있는 요소를) 반영했다는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라며 "외부 전문가 그룹으로 구성된 검토위원회를 통해 검토 과정을 투명하게 진행해 왔으며 특정 정치적 성향으로 알고리즘이 편향되거나 의심할 만한 요소를 도입하는 건 가능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뉴미디어 등 계열사가 있는 언론사를 분리하는 방식으로 순위의 가중치를 낮췄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언론사 인기도는 2021년 8월 언론사 피인용 지수를 추가 도입해 업데이트했다"며 "A일보와 A계열 매체가 있다고 하면 이들은 모두 같은 사이트 인기도 값을 갖는데 이 값이 뉴스 검색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가능한 범위 내에서 더 정확한 검색 결과를 보여주고자 언론사 피인용지수를 결합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언론사 피인용지수란 동일한 사이트(URL)를 사용하는 언론사들 간 분리를 위해 기사 본문 내 특정 언론사의 기사를 인용하는 횟수를 추출해 반영한 지수를 말한다.
한편 네이버 측은 방송통신위원회의 실태점검 착수와 관련해 "조사에 성실히 임하고 소명이 필요한 부분이 있으면 적극 소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유림 기자(2yclever@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