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집값 아직 바닥 아냐" 10명 중 6명이 추가하락 예측


직방, 이용자 대상 설문조사 결과…반등시기 '2025년 이후' 가장 많아

[아이뉴스24 안다솜 기자] 올 1~2월 아파트 거래량이 다시 증가세로 돌아선 가운데 10명 중 6명은 집값이 아직 바닥은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방이 자사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에게 집값에 대한 인식을 물은 결과 58.5%는 집값이 더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사진=직방]
직방이 자사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에게 집값에 대한 인식을 물은 결과 58.5%는 집값이 더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사진=직방]

종합 프롭테크 기업 직방이 지난달 15일부터 29일까지 애플리케이션 이용자 1천9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58.5%는 집값에 대해 '아직 바닥 아니다. 더 떨어질 것 같다'고 응답했다.

집값이 더 떨어질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에게 그 이유를 물은 결과 '최근 1~2년 내 올랐던 가격 상승분이 덜 하락해서'가 24.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전반적으로 경기가 안 좋아서(22.7%) ▲미분양 적체, 분양시장 저조 등의 분위기 영향(21.5%) ▲금리가 계속 오를 것 같아서(19.6%) ▲매물 사려는 매수세보다 팔려는 매도 움직임이 더 많아서(10.1%) 순으로 확인됐다.

'바닥이다', '곧 오르거나 보합일 것'으로 생각하는 응답자는 41.5%로 집계됐다.

구체적으로는 집값이 바닥이라고 보는 응답자 중 '이제 오를 것 같다(상승)'고 보는 의견은 14.9%, '바닥이지만 아직 오를 것 같진 않다(보합)'는 의견은 26.6%로 나타났다.

지금 집값이 바닥이며 이제 오를 것 같다고 답한 응답자의 이유로는 '급매물 거래가 늘고 매물 소진돼서'(28.1%)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집값이 최고점 대비 떨어질 만큼 떨어져서(24.0%) ▲금리 인상 완화되는 기조여서(23.3%) ▲매물 호가, 실거래가격 올라서(13.2%) ▲정부 규제완화 영향 때문에(10.4%) 순이었다.

지금 집값이 바닥이지만 아직 오를 것 같진 않다고 답한 응답자는 그 이유로 '향후 금리 변동에 따른 관망세가 커져서'를 40.1%로 가장 많이 선택했다. 이 밖에 ▲급매물 거래 후 매도, 매수 간 관망세가 이어져서(36.4%) ▲매물거래, 가격 상승이 일부 지역, 단지에 국한된 현상이어서(23.5%) 등의 이유를 꼽았다.

집값의 반등 시기를 물은 질문엔 '2025년 이후'가 44.7%로 가장 많았다. 이어 2024년(33.9%), 올해 4분기(13.6%), 올해 3분기(5.8%), 올해 2분기(2.0%) 순으로 80%에 가까운 응답자가 내년이나 내년 이후 집값이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직방은 "최근 시장 흐름이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는 크지 않아 보인다"면서도 "일부 지역, 단지에선 급매물 거래 후 가격 반등 움직임을 보이는 곳이 있는 만큼 내 집 마련을 준비한다면 전체 시장 움직임보다 개별적으로 출시된 매물에 관심 가져보는 편이 좋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안다솜 기자(cotton@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집값 아직 바닥 아냐" 10명 중 6명이 추가하락 예측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