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IT돋보기] 韓 기업, '초거대AI' 글로벌 경쟁력 충분…"민관 투자 확대해야"


국내 기업들 "초거대 AI, 한국 차별화로 글로벌서 승부보겠다"

[아이뉴스24 박진영,정유림 기자] 초거대 인공지능(AI) 개발이 미국과 중국 중심의 기술 패권 경쟁으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한국도 글로벌 국가들과 견주어 충분한 기술 역량을 확보하고 있다는 게 업계의 공통 의견이다. 정부 차원에서도 챗GPT 등 AI시장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정책 방안을 모색할 방침이다.

박윤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은 23일 오후 서울 강남구 루닛 본사에서 열린 디지털 국정과제 현장 간담회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박윤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은 23일 오후 서울 강남구 루닛 본사에서 열린 디지털 국정과제 현장 간담회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박윤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은 23일 오후 서울 강남구 루닛 본사에서 열린 디지털 국정과제 현장 간담회에서 "'챗GPT' 현상을 보며 이를 어떻게 이해할지에 대한 고민이 각자 많을 거라고 생각한다"며 "대규모 투자와 자원이 필요한 상황으로 알고 있고 정부 지원도 늘고는 있지만, 정부나 민간의 투자 규모를 더 높일 필요가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그는 "정부도 AI 윤리 신뢰성 확보 방안은 물론, AI의 기본인 데이터 활성화를 위해 데이터 기본법을 제정하고 '국가데이터정책위원회'를 설립하는 등 제도적 지원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의 지원방안과 관련해 최동원 과기정통부 인공지능기반정책과장은 "정부는 AI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 등 지원을 뒷받침할 것”이라며 “AI의 신뢰성이나 안전성 등 윤리에 관한 문제도 민간 기업과 같이 합의해 나가겠다. 제도적인 차원의 이슈를 발굴하면서 과기정통부가 다른 부처와 협의해 풀어갈 수 있는 과정들은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초거대AI 모델을 개발・공급하는 기업(네이버, 카카오, SKT, LG AI연구원)과 AI 응용 제품・서비스 기업을 중심으로 검색・상담 서비스, 콘텐츠 생성, 헬스케어, 법률서비스 등 다양한 영역에서 초거대 AI 접목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 아이디어가 논의됐다.

23일 서울 강남구 루닛에서 열린 제2차 디지털 국정과제 연속 현장 간담회에서 참석자들이 발표하고 있다. [사진=정유림 기자]
23일 서울 강남구 루닛에서 열린 제2차 디지털 국정과제 연속 현장 간담회에서 참석자들이 발표하고 있다. [사진=정유림 기자]

◆네이버·카카오 등 "한국 차별화로 글로벌서 승부보겠다"

네이버·카카오 등 초거대AI 기술을 보유한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나섰다. AI가 기반·인프라 기술인 만큼 기술 패권 경쟁과 직결되는 문제고 여기서 한국이 주도권을 가져가겠다는 방침이다.

최근 화두가 된 챗GPT의 경우 서비스의 기반이 된 GPT 3.5는 영어에 능숙하지만 한국어를 이해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이에 한국어 특화 AI 모델로 저변을 넒혀가겠다는 설명이다.

하정우 네이버 인공지능연구소(AI랩) 소장은 "현재 초거대AI는 언어 중심으로 돼 있고, 이를 활용하는 영역에서 문화, 생활방식 등을 고려한 현지화 전략이 필요하다. 이런 점에서 한국의 초거대 AI기술도 충분한 경쟁력이 있다"면서 "다만 한국어 데이터가 영어 데이터에 비해 많이 부족한게 현실이지만, 이를 어떻게 잘 조합해서 고도화할지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중국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 직접 경쟁하기 보다는 이들이 집중하지 않는 글로벌 틈새 시장을 공략하겠다는 전략이다.

하 소장은 "마이크로소프트(MS)나 오픈AI와 경쟁하는 것은 현명하지 않다. 미국 기업들이 주력하지 않는 일본이나 유럽 등 지역을 우선적으로 보고 있다"면서 "또 미국, 중국과도 친하지 않는 중동지역이나 디지털 전환 수요가 높은 동남아 시장도 진출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그는 "네이버는 일본에서 소프트뱅트와 협업해 사업을 진행 중이고, 유럽에서도 얼라이언스 형태로 현지 시장에서 입지를 다질 예정"이라고 전했다.

또 AI가 초기 시장인 만큼 연구개발(R&D) 투자는 물론, AI기술을 어떻게 서비스에 적용할 지 고민해야 할 시기라고 강조했다.

최동진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연구원장은 "챗GPT의 등장으로 소비자에게 활발히 적용되는 상황이 되면서 AI를 활용해 어떤 형태의 서비스로 녹여낼 것인지, 서비스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이슈가 있다"며 "글로벌과의 기술 격차가 크지 않다고 보고 카카오가 적어도 한국에선 잘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했다.

신용식 SK텔레콤 부사장도 "기술 수준은 어느 정도까지 끌어올릴 수 있고 어떻게 서비스로 만들 것인가에 대한 고민하고 있다"며 "결국 핵심은 서비스로, 좀 더 쉽게 서비스화할 수 있는 방법들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진영 기자(sunlight@inews24.com),정유림 기자(2yclever@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IT돋보기] 韓 기업, '초거대AI' 글로벌 경쟁력 충분…"민관 투자 확대해야"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