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윤선훈 기자]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공유킥보드 업체들이 동절기 중단했던 운영을 재개하고 각종 이벤트를 펼치는 등 바삐 움직이고 있다. 다만 산적한 규제 속 그마저도 오락가락하는 데다가, 지난해부터 감소 추세인 이용자 수 반등세도 크지 않아 킥보드 업체들의 표정은 밝지 못하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공유킥보드 업체들은 최근 들어 영업 확대에 나서고 있다. 겨우내 킥보드 점검에 들어갔던 '라임'은 3월 중순부터 운영을 재개했다. '스윙'은 4월 한달 동안 신규 가입자 전원에게 기본요금을 1주일 동안 무제한 무료화했다. '킥고잉' 역시 롯데시네마와 할인권 제공 이벤트를 진행한다. 공유킥보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티맵모빌리티 역시 다양한 이벤트를 통해 관련 서비스 이용자를 꾸준히 늘려 나가고 있다.
하지만 업체들은 마냥 웃지 못한다. 지난해 서울시에서 시작된 즉시견인 여파가 여전한데다가, 지속된 규제 등으로 인해 이용자 수가 쉽게 회복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시가 지난달 즉시견인구역 기준을 명확히 하고 조건이 갖춰진 업체에 대해 즉시견인 60분 유예를 적용하면서 잠시 반색하기도 했지만, 하루 만에 기준이 바뀌면서 업계에서는 혼란이 빚어졌다.
서울시는 지난달 22일 발표한 공유킥보드 종합 개선 대책에서 즉시견인을 60분 유예하고, 즉시견인구역 기준을 명확히 하겠다고 발표했다. 불법 주·정차 공유킥보드에 대한 즉시견인 이후 업계가 눈덩이처럼 불어난 견인료와 보관료 등으로 어려움을 호소하면서 시 측에서 업계 등과의 논의를 통해 개선 대책을 내놨다.
서울시는 당초 ▲버스정류소 전면 5m(버스정류소에서 차도를 바라보고 섰을 때 좌우 5m) ▲횡단보도 전후 3m(횡단보도 양쪽 경계 기준 좌우 3m) ▲점자블록 및 교통섬 위 ▲지하철역 출입구 전면 5m ▲보도와 차도가 분리된 곳의 차도와 자전거도로 등을 즉시견인 구역으로 정하고, 60분 유예시간을 부여했다. 그러나 하루 만에 이를 뒤집어 차도와 자전거도로에서는 종전대로 즉시견인을 유지하고 유예시간을 적용하지 않기로 했다.
업계에서는 즉시견인구역 중 차도·자전거도로 주·정차로 인해 즉시견인된 킥보드의 비율이 가장 높다고 설명한다. 이러다 보니 서울시의 이 같은 변심은 반가운 소식이 아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지난달 23일부터 새로운 대책이 시행됐는데 견인업체에서 차도 갓길에 주차된 킥보드를 견인하는 사례가 나왔다"며 "갑자기 견인이 되기에 서울시에 문의했더니 이 부분에 대한 전달이 제대로 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라고 토로했다.
이와 관련 서울시 관계자는 "사고가 발생했을 때 대형 사고로 이뤄질 수 있는 곳에서는 즉시견인 유예를 하지 않겠다는 것"이라며 "공유킥보드 산업의 정착도 중요하지만, 그 이전에 시민들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했고 그런 점에서 차도와 자전거도로에 즉시견인 유예를 적용하는 것은 처음부터 고려 대상이 아니었다"라고 말했다.
지속된 규제 속 이용자 회복세가 더디다는 점도 걱정이다. 지난해 5월 킥보드 탑승 시 헬멧 착용 의무화 규제 이후부터 꾸준히 감소하던 이용자 수는 앱 이용 시 운전면허증 인증이 의무화되고, 비수기인 겨울이 되면서 더욱 급격하게 줄었다. 3월 들어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어느 정도 회복했지만 여전히 예년만 못하다. 빅데이터 분석업체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주요 8개 공유킥보드 앱의 월간 활성이용자 수(MAU) 총합은 지난해 5월 195만7천262명에서 올해 3월 109만3천87명으로 약 44% 줄었다.
공유킥보드 관련 규제가 지자체별로 다르다는 점도 업체들에게는 골칫거리다. 당장 즉시견인 조치만 해도 서울시에서만 적용된다. 각 시·군별로 견인 기준, 불법 주·정차 기준 등이 조금씩 달라 업체들은 혼란을 토로한다. 이러한 규제를 일률적으로 정리하는 개인형 이동장치(PM) 관련 법안들이 지난 2020년 말 발의됐지만, 1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국회에 계류 중이다.
업계의 목소리를 더욱 강하게 내는 차원에서 공유킥보드 업체 사이에서 협회를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한다. 지난 2020년 처음 논의된 공유킥보드 협회는 지난해 하반기 코리아스타트업포럼 퍼스널모빌리티산업협의회(SPMA) 회원사들을 중심으로 다시 한 번 논의가 본격화됐다. 그러나 해가 넘어가도록 이와 관련해 아직 구체적인 안이 나오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지자체마다 킥보드에 대한 규제가 강해지고 있다는 점이랄지 자전거와 규제 형평성 문제가 있다는 점 등은 분명히 아쉬운 부분"이라면서도 "다만 앞으로 서비스 지역을 넓히는 등의 과정에서 지자체와 꾸준히 소통해야 하기 때문에 업체 입장에서는 직접적으로 불만을 얘기하기가 어렵다"라고 말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