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랜섬웨어 몸값 144% 올랐다…팔로알토 "주기대응 필수"


몸값 지급액도 78% ↑…"콘티 랜섬웨어 전체 20%"

[아이뉴스24 김혜경 기자] 랜섬웨어 피해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몸값 요구액이 2020년 대비 약 1.5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글로벌 보안기업 팔로알토 네트웍스에 따르면 지난해 평균 몸값 요구 금액은 전년 대비 144% 급증한 220만달러(한화 약 27억원), 평균 지급액은 78% 증가한 54만1천달러(약 6억7천만원)로 집계됐다.

2020년과 2021년 랜섬웨어 공격 몸값 요구액과 지급액 비교 [사진=팔로알토 네트워스]
2020년과 2021년 랜섬웨어 공격 몸값 요구액과 지급액 비교 [사진=팔로알토 네트워스]

랜섬웨어 피해 기업은 전년 대비 85% 늘어난 2천566곳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미주 60% ▲유럽‧중동‧아프리카 31% ▲아시아‧태평양지역 9% 순으로 많았다. 가장 많은 공격을 받은 분야는 ▲법무법인 ▲건설 ▲도‧소매 ▲의료 ▲제조업 등으로 조사됐다.

특히 '콘티(Conti)' 랜섬웨어 그룹은 전체 분석 건수 중 20% 이상을 차지했다. 이어 '소디노키비(Sodinokibi)'로 알려진 '레빌(REvil)'이 7.1%, '헬로키티(Hello Kitty)'와 '포보스(Phobos)'가 각각 4.8%로 나타났다.

팔로알토는 범죄 집단들이 ▲다중 갈취 기법 ▲서비스형 랜섬웨어(RaaS) ▲ '로그포쉘(Log4Shell)' 등의 보안 취약점을 이용해 몸값을 갈취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중 갈취 기법이란 피해자의 이름을 특정해 몸값을 지불하지 않으면 디도스(DDoS) 등 추가 공격을 실행하겠다고 협박하는 방식이다. 지난해 랜섬웨어 유출 사이트에 게시된 이같은 공격 시도 증명자료는 전년 대비 85% 증가했다.

또 서비스형 랜섬웨어 모델은 사이버 공격 기술 진입장벽을 낮춰 랜섬웨어의 대량 생산과 확산 속도를 끌어올리고 있다.

이희만 팔로알토 네트웍스 코리아 대표는 "기업 평판이 생존과도 연결될 수 있는 만큼 리스크에 대비하기 위한 준비도(readiness) 평가를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대응 전략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혜경 기자(hkmind9000@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랜섬웨어 몸값 144% 올랐다…팔로알토 "주기대응 필수"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
박찬대 원내대표 격려하는 이재명 대표
박찬대 원내대표 격려하는 이재명 대표
'비상계엄 해제한 국민께 드리는 감사문'
'비상계엄 해제한 국민께 드리는 감사문'
최상목 탄핵안 법사위 회부
최상목 탄핵안 법사위 회부
우원식 국회의장 대국민 특별담화
우원식 국회의장 대국민 특별담화
윤 대통령 탄핵 '인용'에 허탈한 尹 지지자들
윤 대통령 탄핵 '인용'에 허탈한 尹 지지자들
윤석열 파면 직후 용산 청사에서 내려지는 '대통령 상징' 봉황기
윤석열 파면 직후 용산 청사에서 내려지는 '대통령 상징' 봉황기
'윤석열 파면'에 분노하는 지지자들
'윤석열 파면'에 분노하는 지지자들
'윤석열 파면' 인사 나누는 국회측 변호인단
'윤석열 파면' 인사 나누는 국회측 변호인단
'윤석열 파면' 헌재 결정문 듣는 윤 대통령 변호인단
'윤석열 파면' 헌재 결정문 듣는 윤 대통령 변호인단
'윤석열 파면'에 분노하는 지지자들
'윤석열 파면'에 분노하는 지지자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