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종합] 3Q 매출 신기록 쓴 삼성·LG전자…영업익서 갈렸다


삼성, 메모리 호황 후 두 번째로 높은 영업익 vs LG, 충당금 여파로 전년比 절반 수준

[아이뉴스24 장유미 기자]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전분기에 이어 올해 3분기 역시 분기 최대 매출을 기록하며 새 역사를 썼다. 삼성전자는 코로나19로 인한 반도체 호황, 신형 스마트폰 판매 호조, 원달러 환율 상승 등의 영향으로 사상 처음 분기 매출 70조원을 넘어섰다. LG전자는 프리미엄 가전과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 덕분에 18조원이 넘는 분기 매출 신기록을 세웠다.

다만 영업이익에선 삼성전자가 15조원을 돌파하며 역대 두 번째 기록을 세운 반면, GM 전기차 볼트 리콜과 관련한 충당금 여파로 LG전자는 전년 동기 대비 반토막이 나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전분기에 이어 올해 3분기 역시 분기 최대 매출을 기록하며 새 역사를 썼다.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전분기에 이어 올해 3분기 역시 분기 최대 매출을 기록하며 새 역사를 썼다.

2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 3분기 매출이 전분기 대비 16.2% 증가한 73조9천80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기존 분기 최대 매출을 기록했던 전년 동기 대비로도 10.5% 증가한 수치다.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3조2천500억원 늘어난 15조8천200억원으로, 올해 연간 실적으로는 50조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전년 동기에 비해선 28.04%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21.4%로 전분기 대비 1.6%P 개선됐다.

삼성전자의 분기 매출이 70조원을 넘기는 것은 지난 1969년 회사가 설립된 이후 처음으로, 종전 최대 분기 매출은 지난해 3분기에 수립한 66조9천600억원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올해 3개 분기 연속으로 해당 분기 기준 최대 매출을 경신했다"며 "연간 기준으로도 이전 최고치인 2018년 매출을 크게 상회하는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삼성전자, 반도체·스마트폰 덕에 분기 첫 매출 '70兆대'

이 같은 호실적은 반도체와 스마트폰이 주로 이끌었다. 특히 반도체는 D램 가격이 3분기에 정점을 찍은 데다 시스템반도체 실적 개선 등의 영향으로 매출은 26조4천100억원, 영업이익은 10조60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40.48%, 영업이익은 81.59% 늘었다. 전체 영업이익에서 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64%에 이른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 반도체는 3분기 기준 매출에서 2분기 연속 인텔을 제치고 글로벌 반도체 업계 매출 1위 자리를 지켰다. 앞서 인텔은 3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5% 증가한 192억 달러(약 22조6천억원)를 기록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 중 SK하이닉스에 매각한 낸드 플래시 사업 실적을 제외하면 매출은 181억 달러에 그친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서버용 중심으로 수요에 적극 대응해 D램이 분기 최대 출하량과 역대 두 번째 매출을 달성했다"며 "15나노 D램·128단 V낸드 판매 확대를 통한 원가절감과 글로벌 고객사 대상으로 파운드리 제품 공급을 확대해 실적이 개선됐다"고 말했다.

삼성전자가 코로나19로 인한 반도체 호황, 신형 스마트폰 판매 호조, 원달러 환율 상승 등의 영향으로 올해 3분기에 사상 처음으로 분기 매출이 70조원을 넘어서며 역대급 호실적을 달성했다.
삼성전자가 코로나19로 인한 반도체 호황, 신형 스마트폰 판매 호조, 원달러 환율 상승 등의 영향으로 올해 3분기에 사상 처음으로 분기 매출이 70조원을 넘어서며 역대급 호실적을 달성했다.

특히 메모리반도체는 3분기까지 가격 상승세가 이어져 실적에 보탬이 됐다. 이 기간 동안 D램 PC향 범용제품(DDR4 8Gb 1Gx8 2133㎒) 고정거래가격(4.10달러)은 2년 만에 4달러대에 진입했고, 낸드플래시 범용제품(128Gb 16Gx8 MLC) 고정가(4.81달러)도 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여기에다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도 글로벌 고객사를 대상으로 제품 공급을 확대해 실적을 견인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코로나19, 부품 공급 문제 등 부정적인 환경에도 불구하고 서버용 D램의 판매 확대를 바탕으로 D램 전체 출하량 분기 최대 수량을 경신했다"며 "비트(Bit) 기준 성장 예상치를 달성했고 15나노 D램 비중을 확대해 원가 경쟁력을 높였다"고 밝혔다.

이어 "낸드는 서버용 SSD가 주요 서버 고객사의 투자 확대로 수요가 회복됐고 신규 서버 CPU 채용에 따라 고용량화가 진행되면서 수요가 강세를 보였다"며 "서버용 SSD 수요 증가에 대응해 8TB(테라바이트) 이상 고용량 제품 판매를 확대하고 128단 낸드 제품 생산 비중을 늘리며 실적을 지속적으로 성장시켰다"고 덧붙였다.

스마트폰 역시 분기 호실적에 다소 보탬은 됐지만 전년 동기에 비해선 저조한 모습을 보였다. 스마트폰 사업을 담당하는 IM부문은 3분기 매출이 28조4천200억원, 영업이익이 3조3천60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은 6.8%, 영업이익은 24.7% 감소한 수준이다.

삼성전자는 '갤럭시Z폴드3', '갤럭시Z플립3' 등 폴더블폰이 출시된 후 100만 대 이상 판매되는 등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뒀으나, 매년 하반기에 출시됐던 '갤럭시노트' 시리즈의 빈자리는 채우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전 분기와 비교하면 성장세를 기록했다. 전 분기 대비 매출은 25.4%, 영업이익은 3.7% 증가했다. 3분기 모바일 시장은 코로나19 영향의 완화 등으로 전 분기 대비 시장 규모가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무선 사업은 업계 전반의 부품 공급 부족 상황에도 전 분기 대비 매출이 증가했다"며 "특히 '갤럭시Z폴드3'와 '갤럭시Z플립3'의 판매 호조와 중저가 라인업 강화로 스마트폰 판매가 전 분기보다 증가했고, 웨어러블 등 '갤럭시 생태계' 제품군도 지속적인 성장을 했다"고 설명했다.

'갤럭시Z' 시리즈가 기대 이상의 흥행을 기록한 영향으로 중소형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출하량이 증가하면서 디스플레이(DP) 역시 전 분기 대비 좋은 실적을 기록했다. 디스플레이 부문 3분기 매출액은 전 분기 대비 28.97% 증가한 8조8천600억원, 영업이익은 16.4% 늘어난 1조4천900억원으로, 역대 3분기 중 최고 이익을 달성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1.03%, 영업이익은 217% 늘었다.

이는 2분기 연속 1조원대 영업이익으로, 1조 중반대 영업이익은 지난해 4분기(1조7천500억원) 이후 3분기만이다.

삼성디스플레이 관계자는 "대형 디스플레이는 LCD 가격 하락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적자가 확대됐으나 QD 디스플레이 라인 전환을 위해 LCD 판매를 축소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로는 적자가 줄어들었다"며 "3분기 중소형 디스플레이는 주요 고객의 플래그십 신제품 출시에 따른 판매 호조로 전분기 대비 판매량과 이익이 성장했다"고 말했다.

반면 가전을 담당하는 CE부문은 매출이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음에도 영업이익이 큰 폭 감소하며 '1조 행진'을 마감했다. 코로나19 펜트업(pent up·억눌린) 효과가 희석된 데다 원자재 가격과 물류비 부담 등이 실적에 타격을 준 것으로 보인다. 3분기 CE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7% 증가한 14조1천억원, 영업이익은 50.6%나 줄어든 7천600억원이다. 전 분기와 비교해도 매출은 5.2% 늘어난 반면, 영업이익은 28.3% 감소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원자재 수급과 글로벌 물류 이슈에 따른 일부 원가 상승 영향으로 실적은 전년과 전분기 대비 줄었다"며 "'위드 코로나' 전환으로 펜트업 수요도 감소하면서 상반기에 비해 성장세가 둔화됐다"고 밝혔다.

◆LG전자, 가전·TV 덕에 분기 최대 매출…충당금에 영업익 50% ↓

LG전자도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22.0% 증가한 18조7천867억원을 기록하며 분기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기존 최대 매출은 올 1분기에 기록한 17조8천124억원이다.

하지만 영업이익에선 전년 동기 대비 49.6% 감소한 5천407억원을 기록하며 우울한 성적표를 꺼내 들었다. 전장 사업에서 GM 전기차 볼트 리콜 충당금이 약 4천800억원 발생해 발목을 잡았기 때문이다.

앞서 GM은 지난 7월 6만9천 대 리콜에 이어 8월에도 7만여 대 추가 리콜을 발표한 바 있다. 리콜 비용은 GM과 LG전자, LG에너지솔루션이 분담한다.

이로 인해 영업이익은 2분기 대비 38.4% 감소했다. 충당금을 제외하면 전년 동기 대비 5% 가량 감소한 1조207억원이다.

LG전자가 생활가전과 TV 사업 호조에 힘입어 분기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LG전자가 생활가전과 TV 사업 호조에 힘입어 분기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다만 올해 3분기 누적 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53조7천130억원, 3조1천861억원으로 모두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각각 32.1%, 4.7% 늘었다.

LG전자 관계자는 "충당금을 반영하기 전 영업이익만 보면 최고 실적을 기록한 지난해 3분기와 500억원 정도 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며 "생활가전, TV 등에서 좋은 성과를 거둔 것으로 보여진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생활 가전 사업을 담당하는 H&A사업본부는 매출 7조611억원, 영업이익 5천54억원을 거뒀다. 매출은 전년 대비 14.7% 증가한 수치로 분기 사상 최대 기록이다. 단일 사업본부의 분기 매출액이 7조원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올 들어 3분기 연속 6조원 이상의 매출을 올렸다.

반면 영업이익은 원자재 가격 급등, 물류비 상승 등의 영향으로 전년보다 22.9% 줄어 수익성이 악화됐다.

이번 일로 LG전자는 생활가전 매출로 경쟁사인 미국 가전업체인 월풀을 크게 앞지르고 글로벌 1위를 기록했다. 월풀의 3분기 매출은 54억8천800만 달러(약 6조3천515억원)로, LG전자가 3분기 기준으로 월풀을 앞선 것은 처음이다. 올해 누적 매출 기준으로 LG전자는 월풀에 비해 약 2조원 앞서고 있다.

LG전자 관계자는 "프리미엄 가전의 시장지배력이 높아지면서 신가전, LG 오브제컬렉션 등의 판매가 늘고 렌탈 사업도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다"며 "글로벌 공급망 관리를 강화하고 생산라인을 효율적으로 운영해 수익구조를 개선했다"고 설명했다.

TV 사업 등을 담당하는 HE사업본부는 매출 4조1천815억원, 영업이익 2천83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은 13.9% 늘어난 반면, 영업이익은 글로벌 TV 수요 둔화에 액정표시장치(LCD) 등 원자재 가격 상승 영향으로 34.2% 감소했다.

미래 성장동력인 자동차부품(전장·VS) 사업은 이번에도 적자를 기록했다. 전장 사업을 맡고 있는 VS사업본부의 3분기 실적은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한 1조7천354억원을 달성했으나, 영업손실은 5천376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GM 볼트 리콜 충당금인 약 4천800억원이 반영된 탓이다. 충당금을 제외해도 500원대 적자다.

전장 사업부문은 지난 2015년 실적이 발표된 이래 지난해까지 최근 6년간 약 8천600억원의 적자가 누적됐으며 올해도 흑자 전환에 성공하지 못하고 있다.

LG전자 관계자는 "완성차 시장은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 우려가 지속되며 불확실성이 높았다"며 "글로벌 공급망 관리에 집중하고 건전한 수익성 기반의 수주를 확대하며 자동차 부품 시장에서 티어1(Tier 1)의 경쟁력을 높여가고 있다"고 자평했다.

BS(비즈니스솔루션)사업본부도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3.9% 늘어난 1조6천899억원을 기록했지만, 123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반도체 수급 문제와 LCD 패널, 웨이퍼 등 원자재 가격이 오르고 물류비가 인상된 것이 수익성 개선에 악영향을 줬다.

◆삼성·LG, 실적 잔치 끝?…4분기 실적 전망 '흐림'

업계에선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올 들어 실적 잔치를 벌인 것과 달리 4분기부터 수익성이 다소 떨어질 것으로 관측했다. 반도체 수급 차질이 지속되고 있는 데다 코로나19로 인한 펜트업 수요가 3분기에 정점을 찍고 하락할 것으로 보여서다.

특히 가전·TV의 경우 4분기에는 연말 쇼핑 시즌을 맞아 할인판매 등 마케팅 비용 지출이 증가할 것으로 보이는 데다 원가 압박 요인도 많아 영업이익이 연중 최저를 기록할 것이란 전망이 많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4분기 TV 시장은 펜트업 수요가 둔화되고 소비자들의 외부 활동이 증가하면서 수요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생활가전 시장은 3분기부터 이어진 '위드 코로나' 전환 확대로 가전 수요 증가세가 둔화되고 원자재 가격과 물류비 상승은 지속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LG전자 관계자는 "4분기는 원가 인상 요인이 지속되고 변이 바이러스 확산과 글로벌 인플레이션 우려 등으로 인해 불확실성이 여전히 지속될 것"이라며 "특히 생활가전 시장은 연말 성수기로 진입하면서 경쟁이 심화되고 원자재 가격과 물류비 인상이 원가에 부담을 줄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이어 "글로벌 TV 수요는 위드 코로나로 전환되면서 집에 머무르는 시간이 줄어들며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연말 성수기에 마케팅 비용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나 원가절감에 집중하고 프리미엄 제품의 판매 비중을 늘려 매출 성장세를 유지하고 견조한 수익성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LG전자 공기청정기 공장 전경 [사진=LG전자]
LG전자 공기청정기 공장 전경 [사진=LG전자]

업계에선 현재 글로벌 시장을 짓누르고 있는 반도체 공급 부족과 글로벌 공급망 불안이 장기화할 경우 스마트폰·TV·가전 등 세트 상품의 생산 차질로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반도체 수요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시장에서도 반도체 시장에 대해 어두운 전망을 내놨다. 반도체 수요가 3분기를 정점으로 다소 감소할 것이란 전망이 쏟아지는 데다 D램 등 메모리 가격도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돼서다.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4분기(10~12월) 세계 D램 공급이 수요를 앞지르며 가격이 전분기 대비 평균 3~8% 떨어질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특히 PC D램은 평균거래가격이 5~10%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낸드플래시도 전 분기 대비 평균 0~5% 하락할 것으로 예측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PC용 D램은 소비자용 PC 수요가 약화되고 부품 공급 문제에 따른 불확실성이 지속돼 수요는 전분기 대비 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며 "모바일 D램은 단말기 업체들의 5G 신제품 출시는 지속될 것으로 보이나 공급망 문제의 영향과 함께 일부 업체들의 재고 조정으로 수요 증가세는 제한적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또 그는 "모바일용 낸드는 신규 모델 확산, 5G 시장 확대, 고용량화 등으로 수요가 견조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공급망 문제에 따른 불확실성이 남아있다"며 "강점인 공급망 관리 체계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공급망을 확보하고 고부가 제품 비중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차별화 전략을 유지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글로벌 반도체 수급난이 장기화되면서 각 업체들의 스마트폰, 전장 사업 등도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삼성전자의 경우 현재 '갤럭시Z플립3'와 '갤럭시Z폴드3'는 수요가 넘치고 있음에도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4분기 모바일 시장에서 부품 수급에 따른 불확실성이 예상된다"면서도 "연말 성수기 진입 영향 등으로 전 분기 대비 수요는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LG전자 관계자는 "차량용 반도체 공급 이슈와 물류 대란 등으로 완성차 업체들이 생산차질을 빚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VS사업본부는 대외환경 리스크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매출을 극대화하고 공급망 관리와 효율적인 자원 운영에 집중해 수익구조를 개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증권가에서도 삼성전자와 LG전자의 4분기 실적을 두고 암울한 전망을 내놨다. 박유악 키움증권 연구원은 "4분기는 D램, 낸드 가격 하락과 연말 스마트폰과 가전 등 세트 부문의 마케팅 비용 증가로 3분기보다 영업이익이 다소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LG전자 실적이 3분기에 정점을 찍고 4분기에는 다소 부진한 실적을 기록할 가능성이 높다"며 "코로나19 펜트업 효과로 가전 수요가 정점에 이른 만큼 4분기에 수요가 줄어들면서 매출이 감소할 것으로 보이는 데다 생활가전의 원재료 가격 상승과 물류비 부담, 블랙프라이데이 등 연말 마케팅 활동 강화 등의 여파로 수익성도 다소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장유미 기자(sweet@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종합] 3Q 매출 신기록 쓴 삼성·LG전자…영업익서 갈렸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