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종목이슈] 러, 우크라 침공의 나비효과?…탄소배출권 기업 관심↑


독일 등 유럽지역 에너지 부족으로 화력 발전소 재가동

[아이뉴스24 고종민 기자] 독일 등 유럽 주요 국가를 중심으로 화석연료 발전소의 가동량이 늘어나고 있다. 유럽연합(EU)과 미국 등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대해 제재 압박을 가하자, 러시아가 유럽을 대상으로 한 가스 공급 감축에 나섰기 때문이다.

유럽 각국은 부족한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석탄 화력 발전 규제 완화와 폐쇄 발전소의 재가동에 들어갔다. 화력 발전소의 가동률 증가는 결국 탄소배출량 증가로 이어지면서 탄소배출권 수요증가(가격상승)로 연결된다.

'탄소상쇄 숲' 조성을 위한 식목행사에서 (왼쪽부터) 최문순 강원도지사, 이정호 KB생명보험 전무, 강태선 강원세계산림엑스포조직위원장이 함께 나무를 심고 있다. (이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합니다.) [사진=KB생명보험]
'탄소상쇄 숲' 조성을 위한 식목행사에서 (왼쪽부터) 최문순 강원도지사, 이정호 KB생명보험 전무, 강태선 강원세계산림엑스포조직위원장이 함께 나무를 심고 있다. (이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합니다.) [사진=KB생명보험]

23일 주요 외신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독일경제부는 지난 19일(현지시각) 러시아의 천연가스 공급 축소에 대한 대응 조치로 석탄발전을 늘리기로 결정했다. 또한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등도 화력발전소 재가동을 선택했다.

에너지 수요 급증에 따른 일시적인 조치라는 설명이지만 탈원전에 더해 러시아와의 갈등이 중장기적인 이슈로 불거지고 있어, 단기간에 화력발전을 줄이진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여기서 예상되는 파장은 탄소배출권의 가격 상승이다. 신한자산운용에 따르면 독일은 우크라이나 전쟁 이전, 가스의 약 55%를 러시아에서 수입했으며 가스 발전은 독일 전력생산의 15%를 차지했다. 재가동되는 화력발전소는 독일 전체 전력생산의 5%를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오스트리아도 국가 가스 공급의 80%를 러시아에서 들여왔다.

현재까진 독일의 원자력 발전소 중단 정책(올해말 가동 중단)이 유효한 가운데, 주목할 점은 그린 택소노미(Taxonomy: 지속가능한 녹색 분류 체계) 정책이다.

지난 15일 유럽의회 경제통화위원회와 환경보건식품안정위원회는 합동 회의를 열고 원전과 천연가스를 택소노미에 포함해서는 안된다는 결의안을 채택(찬성 76표, 반대 62표, 기권 4표)했다. 지난 2월 택소노미에 원전과 천연가스를 포함하기로 한 EU집행부의 결정을 뒤집은 셈이다.

신한자산운용 SOL ETF 관계자는 “그린택소노미에서 원전과 천연가스 배제 결의가 있었다”며 “이에 더해 독일의 석탄발전소 재가동의 재료는 탄소배출권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진단했다.

투자정보사이트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런던 ICE 국제선물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유럽 탄소배출권 12월물 선물 가격은 최근 톤당 약 96유로까지 올랐다. 현재 가격은 역대 최대 수준이며, 세계적으로 화력 등 화석연료 발전소의 가동률이 증가할 경우 선물 가격 상승이 점쳐지고 있다.

화력발전소 가동량이 급증함에 따라 탄소배출권 가격도 함께 오를 것이란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사진=인베스팅닷컴]
화력발전소 가동량이 급증함에 따라 탄소배출권 가격도 함께 오를 것이란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사진=인베스팅닷컴]

이 같은 세계적인 흐름은 결국 국내 탄소배출권 기업들에게도 호재로 작용할 것이란 관측이다. 국내 대표 탄소배출권 관련 기업은 에코프로에이치엔, KC코트렐, 유니드, 태경비케이, 한솔홈데코 등이다.

에코프로에이치엔은 온실가스·유해가스 저감장치와 대기환경 플랜트를 제조하는 업체이며 KC코트렐은 환경플랜트, 폐기물·바이오매스 에너지화 설비 사업을 하고 있는 데다 이산화탄소 포집·저장기술도 보유하도 있다.

유니드는 탄소 포집에 사용되는 탄산 칼륨 시장점유율 1위업체다. 태경비케이는 현대오일뱅크와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기술 개발 협력을 하고 있다.

이 밖에 ▲한솔홈데코(뉴질랜드 조림사업 통한 탄소배출권 확보) ▲그린케미칼(이산화탄소 포집 기술 개발 국책과제 수행) ▲에코바이오(바이오가스 등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으로 탄소배출권 확보) 등도 주목된다.

다만 관련 사업의 매출 비중은 살펴봐야한다. 해당 사업이 기업의 펀더멘탈에 큰 비중을 차지한다면 탄소배출권 이슈는 중요하다. 반면 전체 사업 대비 비중이 작다면 단순 테마에 편승한 거품으로 볼 수 있는 만큼 투자자들의 주의도 요구된다.

한편 탄소배출권은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온실가스의 일종인 이산화탄소를 배출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각국 정부는 기업들에게 일정한 기준에 따라 탄소배출권을 나눠주는데, 당연히 지금 기업의 탄소배출량보다 훨씬 적다.

정해진 기간 동안 이 배출권보다 많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한 기업에게는 정부가 과징금을 부과한다. 따라서 기업들은 배출권보다 온실가스를 적게 배출한 기업이나 숲을 조성하는 등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한 기업들로부터 돈을 주고 이 권리를 사서 할당량을 채워 넣어야만 과징금을 피할 수 있다.

배출권 거래제도는 매년 의무적으로 줄여야 하는 배출한도를 제시하고 있다. 기업들로서는 장기계획에 따라 탄소배출 감축목표를 세우고 실행할 필요가 생겼다. 저탄소 공장과 시설에 투자할 경우 경제적 인센티브를 확실히 받을 수 있다는 의미다.

/고종민 기자(kjm@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종목이슈] 러, 우크라 침공의 나비효과?…탄소배출권 기업 관심↑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