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초점] 금리인상에 이자부담 커진 '다중채무자'…부실뇌관 되나


저축은행 다중채무자 비중 은행권 대비 두 배 높아

[아이뉴스24 박은경 기자] 금리상승기에 접어들면서 다중채무자들에 대한 경고등이 켜졌다.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다중채무자들의 연체율이 높게 나타나면서 은행과 저축은행의 건전성 지표에도 악영향을 끼칠 것이란 우려다.

20일 신용정보원에 따르면 지난해 6월말 저축은행의 3개 이상 다중채무자 비중은 66%로 은행권 대비 두 배 이상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저축은행 차주 10명 6명이 다중채무자인 셈이다.

은행 개인대출 창구 관련 이미지. [사진=뉴시스]
은행 개인대출 창구 관련 이미지. [사진=뉴시스]

◆ 다중채무자, 연체율도 높아…저축은행 리스크 커져

다중채무자는 연체율도 높다. 저축은행 다중채무자중 90일 이상 연체한 차주 비율인 불량률은 9.4%로 단일 차주 불량률인 6% 대비 4%포인트 가량 높다. 1천만원 미만 소액대출 다중채무자들의 불량률은 약 10%대 초반을 넘어선다.

같은 다중채무자라도 은행권 보다 저축은행 다중채무자들이 더 위험하다. 저축은행 업권 차주는 금융 거래 이력이 적은 20대 등의 '신 파일러'와 소득이 비교적 낮다는 특성을 보이기 때문이다.

나이스신용평가에 따르면 신용등급 산정이 가능한 전국민중 25%인 1천280만명 정도가 '신 파일러'로 집계됐다. 이 중 60대 이상의 노인이 417만명, 20대 사회초년생이 322만명으로 주를 이뤘다.

저축은행의 20~30대 '신 파일러' 비중은 41%로 은행권(32%) 대비 높다.

통계청의 한국은행, 금융감독원의 지난 2020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서도 소득 5분위의 은행대출 비중은 83.2%인 반면 소득이 낮은 1분위는 56.4%에 그쳤다. 소득이 낮을수록 은행 대출 비중이 낮고 저축은행 등 비은행 비중이 높단 것이다.

저축은행의 경우 신용대출서 중·저신용자 비중이 높은 것도 한 몫 한다. 저축은행의 중신용자 비중은 76%, 저신용자 비중은 21%다. 고신용은 3%에 불과하다.

◆ 은행도 안심 못해…금리인상에 따른 이자부담 증가

은행권도 안심하긴 이르다. 지난해 6월말 은행권의 다중채무자 비중은 29%를 차지했으며 다중채무자 불량률은 4% 수준에 이른다. 지난해 9월말 국내 은행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이 0.28%를 기록한 것과 고려하면 다중채무자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약 14배 이상 높은 수치를 보인 것이다. 저축은행과 은행권을 합친 금융권의 다중채무자 불량률도 7.1%에 달한다.

금리인상이 현실화되면서 다중채무자 리스크도 커지고 있다. 금리인상으로 이자부담이 커진 탓이다.

실제 한국은행은 지난 14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인상할 때마다 차주당 대출이자가 16만1천원씩 늘어난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8월 16일 기준금리를 0.50%에서 1.25%로 0.25%포인트씩 세 차례 인상하면서 1인당 대출이자는 48만3천원이나 불어났다.

다중채무자의 금리부담은 지속되는 금리상승 기조로 확대되고 있다.

김예인 한국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2분기 통화정책 휴식기는 불가피하나 하반기에는 금리인상이 이어질 것"이라면서 "경기회복국면에선 금리인상 사이클이 이어지는데, 하반기 내수회복 등을 통해 경기가 확장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금리인상은 지속될 여지가 크다"고 말했다.

금융권에서도 하반기 추가 금리인상이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여건을 고려해야 하나. 하반기 추가 금리인상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이라고 예상했다.

전문가들은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다중채무자 리스크를 대비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한국신용정보원 관계자는 "저축은행 신용대출 차주는 은행에 비해 저소득 및 중·저신용등급자, 소액대출다중채무자 비중이 높은 만큼 다양한 플랫폼과 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모형 고도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박은경 기자(mylife1440@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초점] 금리인상에 이자부담 커진 '다중채무자'…부실뇌관 되나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