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지상파 vs 유료방송사…재송신료 협상 지루한 '평행선'


500원 내외 가격 두고 양보 없는 대립

[아이뉴스24 김문기 기자] 지상파 방송사와 유료방송사의 가입자당재송신료(CPS) 협상이 1년 넘게 이렇다할 합의점을 찾지 못한 채 난항에 빠졌다.

점진적 인상을 통해 오는 2021년까지 500원 인상을 요구하는 지상파에 유료방송사들이 난색을 표하고 있는 것. 게다가 종합편성채널에서의 CPS 정산방식 변화까지 맞물리면서 각각 한발도 물러설 기미를 보이고 있지 않다.

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상파와 유료방송사간의 CPS 협상이 1년여간 별다른 합의점을 도출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방송업계 관계자는 "지상파와 유료방송사가 최근 소폭의 가격 인상을 두고 협상을 벌였으나 이 역시 무산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지상파가 기존 대비 인상폭을 낮춰 500원 안팎을 제시했으나, 구체적인 산정방식 없는 가격인상을 수긍할 수 없다는게 유료방송사의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인포그래픽=아이뉴스24]
[인포그래픽=아이뉴스24]

업계에 따르면 본격적인 CPS 협상에 돌입한 것은 지난해 2월 부터다. 당시 지상파는 기존 대비 100% 인상된 800원의 재송신료를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협상에 따라 50% 인상가격인 600원이 논의되기도 했다.

하지만 유료방송업계는 케이블TV 사업자의 가입자 감소, 매출 하락에 IPTV 역시 시장 포화로 성장세가 둔화되면서 해마다 오르는 CPS를 감당하기 어렵다고 맞섰다. 결국 단계적 인상안으로 오는 2021년 500원의 인상가격을 제시했으나 이 대안도 합의점을 찾지 못한 상태다.

CPS는 통상적으로 3년마다 재협상을 거친다. 지난 2015년 CPS 협상의 경우 지상파와 유료방송사간 첨예한 대립으로 해를 넘긴 2016년에서야 결론을 내렸다. IPTV의 경우 2016년 5월 협상을 통해 같은해 260원, 2017년 380원, 2018년 400원까지 인상하는데 합의했다.

올해도 사정은 마찬가지지만 사정은 더 복잡해졌다. 지상파는 재정악화에 더해 직접수신율마저 5% 내외에 그치고 있다. 시청률은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 유료방송사들이 CPS 가격인상에 수긍할 수 없다면 강조하는 근거다. 게다가 유료방송사도 매출 및 가입자 감소로 인해 콘텐츠 제작사에게 지급할 프로그램 사용료 마련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해 계열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에 프로그램 사용료를 과다 지급해 방통위로부터 시정명령 및 과징금을 부과받은 CMB 사례도 이 중 하나. 당시 김태율 CMB 대표는 "지상파와 종편 CPS로 매출의 68%를 지급하고 있는데, CPS가 인상된다면 방송 매출의 90% 가량을 지급해야 하는 실정"이라고 토로한 바 있다.

게다가 최근 종편 역시 IPTV 등 유료방송사에 PP 프로그램 사용료 인상을 요구한 것도, 지상파와 유료방송사간 CPS 논의에 찬물을 끼얹는 형국이다.

현재 종편은 IPTV에 현재 약 50원 수준인 프로그램 사용료를 지난해 100원, 올해 150원으로 인상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주장은 지상파가 그간 인상해온 CPS 가격에 기인한 것으로, 서로 암묵적 상관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으론 지상파의 협상력이 약화되면서, 유료방송사와의 합의가 전격적으로 이뤄질 가능성도 거론된다.

통상적으로 지상파와의 CPS 협상은 IPTV, 케이블TV 순으로 계약을 맺고 있다. KT와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 중 한 사업자마 계약이 성사되면 CPS 협상이 잇따라 이어질 것이라는 예상이다.

김문기 기자 moon@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지상파 vs 유료방송사…재송신료 협상 지루한 '평행선'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