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도민선 기자] 정부가 치매극복을 국정과제로 삼고, 과학기술을 이용한 치료진단·치료기술개발을 적극 지원한다. 향후 10년간 총 5천826억원 규모의 국가 연구개발(R&D) 사업을 진행, 이를 통해 글로벌 산업을 선도하겠다는 포부다.
14일 오전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1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는 국가 치매연구개발 중장기 추진전략이 안건으로 상정됐다.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 고령화 진행속도가 매우 빠르고, 치매환자 및 치매관리비용이 급속히 늘고 있다. 2015년에 환자 65만명, 관리비용이 13조2천억원이던 게 2040년에는 196만명, 63조9천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이번 전략을 통해 2030년까지 치매발병을 평균 5년간 늦추고 환자증가 속도를 50%까지 줄인다는 목표다. 또 혁신적인 치매 치료진단·치료 기술 개발을 통해 글로벌 치매시장 점유율도 높여나가기로 했다.
글로벌 치매 치료제 시장규모는 2014년 128억달러에서 2020년 211억달러로 연평균 8.6% 늘고, 알츠하이머 진단시장은 2016년 68억달러 규모에서 2022년에는 12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화이자, 릴리 등 글로벌 제약사가 치매 치료제 개발을 포기한 것도 한국이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요인이다.
◆정부, 치매 관리 국정과제로 다뤄
현 정부는 치매국가책임제를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돌봄과 의료비 지원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과학기술을 이용한 효과적인 진단·치료방법을 마련키로 했다.
정부는 우선 무증상 단계의 조기진단 및 치료 기술개발을 강화하고, 다양한 치매 발병원인에 대한 탐색연구와 인공지능 등 ICT 및 로봇 기반의 돌봄·재활 기술 개발 등을 확대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보건복지부가 공동으로 치매극복 대형사업을 기획해 부처 칸막이를 제거하고, 권역별 치매연구개발센터 지정과 치매연구개발통합DB를 구축해 연구성과·정보 공유를 활성화해 나갈 계획이다. 국가 치매극복 연구개발사업은 2020년부터 2029년까지 총 5천826억원을 들여 진행되며, 예비타당성조사를 받게된다.
또 규제기관이 R&D 단계부터 참여해 기업들이 신속하게 인허가를 획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국민들이 조기에 체감할 수 있도록 치매 안심센터 및 보건소 등 공공분야에서 우수 신제품에 대한 테스트 베드 제공 및 우선 구매를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개발단계부터 규제기관이 참여해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하고, 선제적 평가기술 마련 및 첨단 바이오의약품 등에 대한 신속허가제를 신설할 예정이다.
고서곤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사전 브리핑에서 "치매 증상은 다양하고 70여개에 이르는 다양한 인자가 있는데 글로벌 제약사는 특정 요인에 대해 연구하다 실패한 것"이라며, "최근 기술이전 사례도 나타나고 있고 효과적인 치료제를 개발하는데 한국이 같은 출발선상에 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도민선기자 domingo@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